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데이터베이스란?
    정보처리기능사/데이터베이스 기초 2018. 11. 5. 14:04

    1. 정의


    데이터의 중복성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사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상호 관련된 데이터의 통합된 집합체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 될, 반드시 필요한 자료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


    * 정보와 자료

    - 자료(Data) :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단순한 사실이나 결과값

    - 정보(Information) :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형태로, 자료를 가공(처리) 한 것


    2. 특징


    - 실시간 접근성: 수시적이고 비정형적인 질의(조회)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에 의한 응답이 가능해야 한다.

    - 계속적인 변화: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 삭제, 갱신으로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해야 한다.

    - 동시 공용: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자기가 원하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내용에 의한 참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참조할 때,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내용으로 데이터를 찾는다.


    3.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료를 저장하고 관리하여 정보를 얻어내는 데 필요한 컴퓨터 중심의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

    - 데이터베이스

    - 스키마

    -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언어

    -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4. 분산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


    논리적으로는 같은 시스템에 속하지만 물리적으로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성 요소

    - 분산 처리기: 자체적으로 처리 능력을 가지며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

    - 분산 데이터베이스: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게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됨

    - 통신 네트워크: 분산 처리기들을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처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5.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데이터 웨어하우스란?

    급증하는 다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정보화하고 이를 여러 계층의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등장하게 된 동기

    전사적인 데이터 통합을 통한 정보의 효율적인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고,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사결정용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


    데이터 웨어하우스에는 다양한 원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제되어 추출된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필요한 인덱스를 생성한다. 이후, 데이터의 다차원 분석 도구로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다.

    '정보처리기능사 > 데이터베이스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언어  (0) 2018.11.05
    스키마(Schema)  (0) 2018.11.0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0) 2018.11.05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