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DML - INSERT, DELETE, UPDATE정보처리기능사/SQL 2018. 11. 9. 17:28
1. 삽입문(INSERT INTO~) 삽입문은 기본 테이블에 새로운 튜플을 삽입할 때 사용된다. 일반 형식INSERT INTO 테이블명(속성명1, 속성명2, ...)VALUES(데이터1, 데이터2, ...); - 대응하는 속성과 데이터는 개수와 자료형이 일치해야 한다.- 기본 테이블의 모든 속성을 사용할 때는 속성명을 생략할 수 있다.- SELECT문을 사용하여 다른 테이블의 검색 결과를 삽입할 수 있다. 예1) 테이블에 (이름 - 홍승현, 부서 - 인터넷)을 삽입하시오.INSERT INTO 사원 (이름, 부서) VALUES (홍승현, 인터넷); 예2) 테이블에 (장보고, 기획, 05/03/73, 석사동, 90)을 삽입하시오.INSERT INTO 사원 VALUES (장보고, 기획, 05/03/73, 석사..
-
DML - SELECT정보처리기능사/SQL 2018. 11. 9. 17:13
SELECT 문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튜플(행)들 중에서 전체 또는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행)을 검색하여 주기억장치 상에 임시 테이블로 구성하는 명령문이다. 1. 일반 형식 SELECT PREDICATE [테이블명,]속성명1, [테이블명,]속성명2, ...FROM 테이블명1, 테이블명2, ...[WHERE 조건][GROUP BY 속성명1, 속성명2, ...][HAVING 조건][ORDER BY 속성명 [ASC | DESC]]; - SELECT절> 속성명: 검색하여 불러올 속성(열) 또는 속성을 이용한 수식을 지정> 기본 테이블을 구성하는 모든 속성을 지정할 때는 '*' 를 기술>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대상으로 검색할 때는 '테이블명.속성명' 으로 표현> PREDICATE: 불러올 튜플 수를 제한할 명령어..
-
DDL정보처리기능사/SQL 2018. 11. 9. 16:05
DDL(Data Define Language, 데이터 정의 언어)은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문이다. DDL로 정의된 내용은 Meta-data가 되며,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한다. * Meta-data(메타 데이터): 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 즉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시스템 카탈로그: 시스템 그 자체에 관련이 있는 다양한 객체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 데이터 정의문에서 사용하는 테이블 종류> 기본 테이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독자적으로 존재> 뷰 테이블: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못하고,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진 가상 테이블> 임시 테이블: 질의문 처리 결과로 만들어진 테이블로..
-
SQL의 개념정보처리기능사/SQL 2018. 11. 9. 11:43
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의 개요 - 1974년 IBM 연구소에서 개발한 SEQUEL에서 유래- IBM 외에도 많은 회사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를 지원하는 언어로 채택-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을 기초로 한 혼합 데이터 언어- 질이어지만, 질의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구조의 정의,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제어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 * 관계대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 관계해석: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지님* 질의어(Query Language): 데이터베이스 파일과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단말 사용자들이 단말기를 통해서 대화식으로 쉽게 ..
-
이상(Anomaly) 및 정규화(Normalization)정보처리기능사/관계형 데이터베이스 2018. 11. 7. 12:06
1. 정규화의 개요 -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하여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 가는 과정- 정규형에는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BCNF형, 제4정규형, 제5정규형이 있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설계 단계와 논리적 설계 단계 사이에서 수행- 개체들에 존재하는 데이터 속성의 중복을 최소화하여 일치성을 보장하며 데이터 모델을 단순하게 구성한다.- 개체에 존재하는 함수적 종속 관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안정화 시킨다.- 정규화는 논리적 처리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 함수 종속성릴레이션의 어떤 속성의 값이 다른 속성의 값을 고유하게 결정하게 하는 것을 의미.예) 속성 X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계없..
-
무결성(Integrity)정보처리기능사/관계형 데이터베이스 2018. 11. 7. 11:44
1. 무결성의 개념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값과 그것이 표현하는 현실 세계의 실제 값이 일치하는 정확성을 의미- 무결성 제약 조건이란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유효성,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부정확한 자료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약 조건을 말한다.- 무결성 규정의 대상으로는 도메인, 키, 종속성, 관계성 등이 있다. 2. 무결성의 종류 - 널(NULL) 무결성 : 릴레이션의 특정 속성(Attribute) 값이 NULL이 될 수 없도록 하는 규정예) 릴레이션에서 성명 속성에 NULL 무결성 제약 조건을 설정하면 성명 속성에는 반드시 값을 입력해야 한다. - 고유(Unique) 무결성 : 릴레이션의 특정 속성에 대해서 각 튜플이 갖는 값들이 서로..
-
키의 개념 및 종류정보처리기능사/관계형 데이터베이스 2018. 11. 7. 10:53
1. 키(Key) 의 개념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튜플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기준이 되는 속성 2. 키(Key)의 종류 후보키(Candidate Key)-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즉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을 말함- 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튜플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만족시켜야 한다. > 유일성(Unique) : 하나의 키 값으로 하나의 튜플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 최소성(Minimality) : 모든 레코드들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데 꼭 필요한 속성으로만 구성되어야 한다. 예) 릴레이션에서 학번이나 주민번호는 다른 레코드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후보키이다. 릴..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정보처리기능사/관계형 데이터베이스 2018. 11. 6. 17:12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 1970년 IBM에 근무하던 코드(E. F. Codd)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개체(Entity)나 관계(Relationship)를 모두 릴레이션(Relation)이라는 표(Table)로 표현- 릴레이션은 개체를 표현하는 개체 릴레이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 릴레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장점: 간결하고 보기 편리하며, 다른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이 용이하다.- 단점: 성능이 다소 떨어진다. 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Relation 구조 릴레이션은 데이터들을 표(Table)의 형태로 포현한 것으로 구조를 나타내는 릴레이션 스키마와 실제 값들인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된다. 튜플(Tuple)-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 속성의 모..